꾸준한 피드백과 칭찬은 아이들이 글쓰기에서 성장하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칭찬 중심의 피드백을 통해 아이들이 긍정적인 동기를 갖게 하고, 보완점 제시로 더 나은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강점을 부각시키며, 건설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균형 잡힌 피드백입니다.
목차
1) 칭찬 중심 피드백
칭찬 중심의 피드백은 아이가 글쓰기를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가지게 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글쓰기의 장점과 잘한 부분을 먼저 칭찬해 줌으로써, 아이가 글쓰기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초등학생은 긍정적인 피드백에 크게 반응하므로, 잘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칭찬 중심 피드백 방법
- 구체적인 칭찬: “잘했다”라는 일반적인 칭찬보다는 구체적으로 잘한 부분을 칭찬합니다. 아이가 글을 쓸 때, 문장의 흐름이 좋았거나 특정한 어휘 선택이 훌륭했다면 그것을 구체적으로 짚어 줍니다.
- 예시: “이번 글에서 네가 주인공의 감정을 잘 표현했구나! 특히 ‘기분이 나빠지자, 주인공의 얼굴이 점점 굳어갔다’는 문장이 정말 생생했어.”
- 강점 부각: 아이가 글에서 잘한 부분을 찾아내어 그 강점을 부각시켜줍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자신이 글쓰기를 잘하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되고,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 예시: “네가 이번 글에서 서론을 정말 잘 썼어. 이야기를 시작할 때 독자가 흥미를 느끼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아주 좋았어!”
- 노력 칭찬: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에서의 노력을 칭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힘들어도 끝까지 글을 완성했거나, 새로운 시도를 했다면 그 노력을 칭찬해 줍니다.
- 예시: “이번 글은 더 긴 문장을 사용하려고 노력한 게 보이네. 글을 쓰는 데 시간이 걸렸을 텐데, 끝까지 완성한 것이 정말 대단해!”
칭찬 중심 피드백 예시:
- “이 문단에서 네가 풍경을 묘사한 부분이 아주 생생했어! 덕분에 독자가 그 장면을 눈앞에 보는 것처럼 느낄 수 있었을 거야.”
- “너의 글은 주인공의 감정을 세심하게 표현해서 이야기가 더 흥미로워졌어.”
- “이야기의 결말이 정말 창의적이었어! 이렇게 반전 있는 결말을 생각해낸 게 너무 재미있었어.”
2) 보완점 제시
칭찬만큼 중요한 것이 보완점 제시입니다. 아이가 어떻게 하면 글을 더 발전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건설적인 조언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완점 제시는 비판적인 피드백이 아니라, 아이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코멘트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보완점 제시 방법
- 긍정적으로 시작하기: 보완점을 이야기할 때는 칭찬으로 시작한 뒤 제안 사항을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가 피드백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발전의 기회로 여기게 됩니다.
- 예시: “이번 글에서 인물의 감정을 정말 잘 표현했어. 다만 중간 부분에서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 설명이 들어갔다면, 독자가 이야기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을 것 같아.”
- 구체적인 제안: 막연하게 “더 잘 써라”보다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이때 아이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설명하고,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야 합니다.
- 예시: “이 부분에서 주인공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설명이 조금 부족한 것 같아. 주인공의 생각이나 이유를 조금 더 자세히 써준다면, 이야기가 더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을 거야.”
- 대안을 제시하기: 아이가 개선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시나 대안을 제시해 줍니다. 예시를 통해 아이가 어떤 식으로 글을 수정할 수 있는지 이해하게 됩니다.
- 예시: “이 문단에서 주인공이 무엇을 느꼈는지 좀 더 설명하면 좋을 것 같아. 예를 들어, ‘주인공은 그 말을 듣고 슬퍼졌지만, 겉으로는 웃어보였다’처럼 주인공의 마음을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어.”
- 피드백의 범위를 좁히기: 한 번에 너무 많은 보완점을 제시하기보다는, 하나의 핵심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 개선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이번 글에서는 문장 표현력에 초점을 맞추고, 다음 글에서는 글의 구조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보완점 제시 예시:
- “이 부분에서 조금 더 구체적인 설명이 있으면 좋겠어. 주인공이 왜 그 결정을 내렸는지 설명하면 독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야.”
- “문단이 조금 길어서 읽는 사람이 중간에 쉬어갈 수 있도록 문단을 나눠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
- “이야기 끝부분이 조금 급하게 끝난 느낌이야. 결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어떨까?”
3) 칭찬과 보완점의 균형 맞추기
피드백은 칭찬과 보완점의 균형을 잘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이 긍정적인 피드백만 받는다면 발전 기회를 놓칠 수 있지만, 너무 많은 보완점만 제시하면 자칫 자신감을 잃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칭찬을 통해 아이의 성장을 인식하게 하면서도, 보완점을 통해 더 나은 글을 쓸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
칭찬과 보완점 균형 맞추기 예시:
- “이번 글에서 서론을 정말 잘 썼어. 독자가 이야기에 몰입하게끔 시작한 부분이 훌륭했어! 다만 중간에 사건 전개가 조금 빠르게 진행된 것 같아. 사건 전개 부분을 조금 더 상세히 써주면 이야기의 흐름이 자연스러워질 거야.”
4) 피드백 후 대화
피드백을 제공한 후, 아이와 대화를 나누며 소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드백을 제공한 후 아이에게 그 피드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보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설명을 덧붙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피드백 후 대화 예시:
- “이번 글에서 내가 이야기한 부분 이해가 됐니? 혹시 네가 다시 수정한다면 어떤 식으로 고칠 수 있을까?”
- “혹시 글을 쓰면서 어려운 점이 있었니? 다음에 이런 부분을 쓸 때 어떻게 하면 좋을지 같이 생각해 볼까?”
결론
칭찬 중심의 피드백은 아이들에게 자신감을 주고,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게 도와줍니다. 구체적인 보완점 제시는 아이들이 발전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며, 건설적인 방향으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칭찬과 보완점을 적절히 균형 있게 전달함으로써, 아이들은 긍정적인 동기를 얻으면서도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됩니다.